각종정보

자동차세 납부방법

나의친구 3 2025. 8. 20. 03:31
반응형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매년 또는 분기마다 부과되는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세의 일종으로, 해당 차량의 배기량, 차종, 등록 지역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자동차세 납부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그리고 절세 팁까지 자세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자동차세 개요

 

 

 

자동차세는 지방세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동차 소유 사실에 근거해 부과됩니다.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량 등 대부분의 차량이 과세 대상입니다.

 

  • 과세 기준일
    • 1 기분: 매년 6월 1일 기준 소유자
    • 2 기분: 매년 12월 1일 기준 소유자

즉, 6월과 12월을 기준으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그 시점의 소유자가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자동차세 납부 시기

 

 

 

자동차세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1. 정기 납부

  • 1기분: 6월 16일 ~ 6월 30일
  • 2기분: 12월 16일 ~ 12월 31일

 

2. 연납(선납) 제도

  • 매년 1월, 3월, 6월, 9월에 신청 가능
  • 1월에 전액 납부하면 최대 9.15% 할인 혜택
  • 중간 신청 시 할인율은 다소 줄어듭니다.

 

자동차세 납부 방법

 

 

 

1) 인터넷(위택스, 지방세납부시스템)

 

  • 위택스(WeTax) 또는 지방세납부시스템(ETAX) 홈페이지 접속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으로 로그인
  • ‘자동차세 조회 및 납부’ 메뉴에서 세금 확인 후 결제
  • 신용카드, 계좌이체, 간편 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지원

 

 

2) 모바일 앱(스마트 위택스, 지방세 앱)

 

  • 스마트 위택스 앱 다운로드
  • 인증 후 자동차세 내역 확인
  • 간편 결제나 계좌이체로 즉시 납부 가능

 

 

3) 은행·ATM 납부

 

  • 고지서 지참 후 전국 은행 창구 방문
  • 무인 ATM에서 ‘지방세 납부’ 메뉴를 통해 납부 가능

 

 

4) ARS 전화 납부

 

  • 지자체별 ARS 번호로 전화
  • 고지서 상 납부번호 입력 → 카드 결제 가능

 

5) 자동이체

 

  • 매 기한마다 자동으로 계좌에서 출금
  • 연납 신청 시에도 자동이체 가능(은행 또는 위택스에서 신청)

 

 

자동차세 절세 팁

 

 

 

  1. 연납 제도 적극 활용
    • 1월에 신청하면 가장 많은 할인 혜택
    • 3월, 6월, 9월 신청도 가능하지만 할인율이 점점 줄어듭니다.
  2. 배기량 낮은 차량 구매 고려
    • 승용차의 경우 배기량에 따라 세금 차이가 큽니다.
  3.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세금 감면
    • 친환경 차량은 일부 또는 전액 감면 혜택

 

납부 후 확인 방법

 

 

 

  • 위택스/ETAX에서 ‘납부 확인서’ 발급 가능
  • 은행이나 ATM 납부 시 영수증 반드시 보관
  • 차량 매도 시, 미납 여부 확인 필수

 

자동차세 미납 시 불이익

 

 

 

  • 가산금 부과: 미납 금액의 3% + 매월 0.75%
  • 압류: 장기 미납 시 차량 번호판 영치, 재산 압류 가능
  • 신용불량 등록: 심각한 경우 신용정보 등록

 

마무리

 

 

자동차세는 정해진 기간 내에 편리한 방법을 선택해 납부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매년 적지 않은 금액을 절약할 수 있으니 꼭 챙기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